맨위로가기

아이티 요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이티 요리는 타이노 원주민 요리, 스페인 및 프랑스 식민 시대의 영향, 아프리카 노예들의 식재료 유입을 통해 발전해왔다. 주식은 쌀이며, 프랑스 요리와 서아프리카 요리의 융합으로 크리올 요리가 발달했다. 주요 식재료로는 쌀, 콩, 옥수수, 플랜테인, 다양한 채소와 과일, 향신료 등이 사용된다. 대표적인 요리로는 쌀과 콩을 곁들인 'riz collé aux pois', 채소 스튜인 'légume haïtien', 튀긴 돼지고기인 'griot' 등이 있다. 아이티는 럼 생산으로 유명하며, 다양한 무알코올 음료와 디저트도 즐겨 먹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이티 요리 - 파타콘
    파타콘은 중앙아메리카와 카리브해 지역에서 덜 익은 플랜테인을 납작하게 눌러 튀긴 요리로, 국가에 따라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소금이나 소스와 함께 먹거나 다른 음식과 곁들여 먹는다.
  • 아이티 요리 - 에피스
    에피스는 아이티 요리의 기본 재료로, 타이노와 아프리카 문화에서 유래되었으며 파슬리, 파, 마늘, 감귤류 즙, 스코치 보닛 고추 등을 혼합하여 다양한 요리에 풍미를 더하는 데 사용되고, 각 가정마다 고유의 레시피를 가진 아이티 문화의 중요한 상징이다.
아이티 요리
지도
요리
다양한 아이티 음식
다양한 아이티 음식
다른 이름프랑스어: cuisine haïtienne
아이티 크레올어: kizin ayisyen
종류요리 전통
지역아이티
주요 특징
영향 받은 요리프랑스 요리
아프리카 요리
타이노 요리
스페인 요리
중동 요리
일반적인 재료

과일
채소
닭고기
돼지고기
염소고기
해산물
조리 기술굽기
튀기기
끓이기
마리네이드
일반적인 음식수프 주모 (Soup joumou)
그리오 (Griot)
피클리즈 (Pikliz)
두리즈 (Diri ak djon djon)
반안 (Banan peze)
파테 (Pâté)

2. 역사

아이티 요리는 원주민인 타이노족의 요리, 스페인 식민지 시대의 요리, 프랑스 식민지 시대의 요리, 그리고 아이티 혁명과 독립 이후의 요리 등 여러 시대를 거치며 발전해왔다.

바비큐아이티에서 유래되었다. '바비큐'라는 단어는 카리브해의 타이노족 언어에서 유래된 ''barabicu''에서 파생되었으며, ''바르바코아'' 형태로 유럽 언어에 유입되었다.[3] 옥스퍼드 영어 사전은 이 단어를 "기둥 위에 설치된 나뭇가지 프레임워크"로 번역한다.[4][5] 1526년 스페인에서 ''스페인 왕립 학술원 스페인어 사전(제2판)''에서 "바베코아"라는 단어가 처음으로 인쇄물에 사용되었다. 스페인 사람들은 아이티 원주민들이 나뭇가지로 만든 틀과 그 아래에서 피어오르는 불꽃과 연기가 고기를 감싸 독특한 풍미를 내는 그릴에 동물의 고기를 굽는 것을 발견했다.[6][7]

1492년 크리스토퍼 콜럼버스히스파니올라섬을 스페인 영토로 선언한 후, 스페인인들은 설탕 농장을 세우고 원주민들을 노예로 부렸지만, 가혹한 환경과 전염병으로 인해 원주민들은 1520년경에 거의 전멸했다. 스페인인들은 농장 노동력을 보충하기 위해 아프리카에서 노예들을 수입했다.[8][9][10]

1659년, 프랑스인들은 히스파니올라섬 서부에 자리를 잡았고, 1697년 바젤 조약을 통해 이 지역을 차지했다. 1700년대에 프랑스는 아프리카 노예 노동력을 통해 사탕수수, 커피, 면화, 코코아를 재배했다. 아프리카인들은 오크라, 아키, 토란, 비둘기콩과 다양한 향신료를 식단에 도입했다.

아이티 혁명 이후 1804년 아이티 제1 제국이 수립되자, 수천 명의 난민들이 뉴올리언스로 도망쳐 루이지애나 크리올 요리에 아이티 특산물을 소개했다.[11][10] 프랑스로부터 독립한 이후에도 프랑스 치즈, 빵, 디저트는 여전히 지역 상점과 시장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음식이다.[10]

2. 1. 원주민 (타이노족) 요리

아이티는 아라와크어족에 속하는 타이노어를 사용하는 원주민 타이노족이 거주하던 여러 카리브해 섬 중 하나였다. 바비큐아이티에서 유래되었다. '바비큐'라는 단어는 카리브해의 타이노족 언어에서 유래된 ''barabicu''에서 파생되었으며, ''바르바코아'' 형태로 유럽 언어에 유입되었다.[3] 옥스퍼드 영어 사전은 이 단어를 "기둥 위에 설치된 나뭇가지 프레임워크"로 번역한다.[4][5]

스페인 탐험가 곤살로 페르난데스 데 오비에도 이 발데스는 1526년 스페인에서 ''스페인 왕립 학술원 스페인어 사전(제2판)''에서 "바베코아"라는 단어를 처음으로 인쇄물에 사용했다. 1492년 콜럼버스가 아메리카 대륙에 상륙한 후, 스페인 사람들은 아이티 원주민들이 나뭇가지로 만든 틀과 그 아래에서 피어오르는 불꽃과 연기가 고기를 감싸 독특한 풍미를 내는 그릴에 동물의 고기를 굽는 것을 발견했다. 이상하게도, 같은 틀이 한밤중에 잠자는 동안 공격할 수 있는 야생 동물로부터의 보호 수단으로 사용되었다.[6][7] 바비큐는 아이티 요리에서 살아남았을 뿐만 아니라 세계 여러 지역에 소개되었으며 수많은 지역적 변형을 가지고 있다.

2. 2. 스페인 식민지 시대

크리스토퍼 콜럼버스는 1492년 12월 5일 몰 생 니콜라스에 상륙하여 '라 이슬라 에스파뇰라'(나중에 히스파니올라로 명명됨)를 스페인 영토로 선언했다. 스페인인들은 설탕 농장을 세우고 원주민들을 노예로 부렸지만, 가혹한 환경과 스페인 선원들이 옮긴 전염병으로 인해 원주민들은 1520년경에 거의 전멸했다. 원주민들은 이러한 새로운 질병에 대한 면역력이 없었기 때문이다.[8][9][10] 스페인인들은 농장 노동력을 보충하기 위해 아프리카에서 노예들을 수입했다.[8][9][10]

2. 3. 프랑스 식민지 시대

크리스토퍼 콜럼버스는 1492년 12월 5일 몰 생 니콜라스에 상륙하여 스페인령으로 '라 이슬라 에스파뇰라'(나중에 히스파니올라로 명명됨)라고 명명된 섬을 주장했다. 스페인인들은 설탕 농장을 세우고 원주민들을 노예로 부렸지만, 가혹한 환경과 스페인 선원들이 옮긴 전염병으로 인해 원주민들은 1520년경에 거의 전멸했다. 원주민들은 이러한 새로운 질병에 대한 면역력이 부족했기 때문이다.[8][9][10] 스페인인들은 대신 이러한 농장에서 일하기 위해 아프리카에서 노예들을 수입했다.[8][9][10] 아프리카인들은 오크라(검보라고도 함, 식용 꼬투리), 아키 (빨간색과 노란색 과일), 토란 (식용 뿌리), 비둘기콩 (아프리카 관목의 씨앗)과 다양한 향신료를 식단에 도입했다. 1659년, 프랑스인들은 해적들을 통해 히스파니올라 섬과 토르투가 섬의 서부에 자리를 잡았다. 1697년 바젤 조약을 통해 프랑스는 스페인이 소홀히 한 섬의 서부 지역을 차지할 수 있었다. 1700년대에 이르러 프랑스는 아프리카 노예 노동력을 통해 사탕수수, 커피, 면화, 코코아를 성공적으로 재배하면서 통제력을 확고히 했다. 아이티 혁명이 끝나고 1804년 아이티 제1 제국이 수립되자 혁명에서 도망친 수천 명의 난민들, 백인과 자유 유색인(아프랑시 또는 갱 드 컬러 리브르)이 뉴올리언스로 도망쳐 종종 아프리카 노예들을 데려와 도시 인구를 두 배로 늘렸다.[11] 그들은 또한 루이지애나 크리올 요리에 레드 빈스 앤 라이스와 차요테(배 모양 채소)와 같은 아이티 특산물을 소개했다.[10]

프랑스로부터 독립한 이후, 프랑스 영향은 언어 사용뿐만 아니라 요리에 대한 기여에서도 아이티 사회에 뚜렷하게 남아 있다. 프랑스 치즈, 빵, 디저트는 여전히 지역 상점과 시장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음식이다.[10]

2. 4. 아이티 혁명과 독립

크리스토퍼 콜럼버스는 1492년 12월 5일 몰 생 니콜라스에 상륙하여 '라 이슬라 에스파뇰라'(나중에 히스파니올라로 명명됨)라고 명명된 섬을 스페인령으로 선포했다. 스페인인들은 설탕 농장을 세우고 원주민들을 노예로 부렸지만, 가혹한 환경과 스페인 선원들이 옮긴 전염병으로 인해 원주민들은 1520년경에 거의 전멸했다. 원주민들은 이러한 새로운 질병에 대한 면역력이 부족했기 때문이다.[8][9][10] 스페인인들은 농장에서 일할 노동력을 충당하기 위해 아프리카에서 노예들을 수입했다.[8][9][10]

아프리카인들은 오크라(검보라고도 함, 식용 꼬투리), 아키 (빨간색과 노란색 과일), 토란 (식용 뿌리), 비둘기콩 (아프리카 관목의 씨앗)과 다양한 향신료를 아이티 식단에 도입했다. 1659년, 프랑스인들은 해적들을 통해 히스파니올라 섬과 토르투가 섬의 서부에 자리를 잡았다. 1697년 바젤 조약을 통해 프랑스는 스페인이 소홀히 한 섬의 서부 지역을 차지할 수 있었다. 1700년대에 이르러 프랑스는 아프리카 노예 노동력을 통해 사탕수수, 커피, 면화, 코코아를 성공적으로 재배하면서 통제력을 확고히 했다.

아이티 혁명이 끝나고 1804년 아이티 제1 제국이 수립되자 혁명에서 도망친 수천 명의 난민들, 백인과 자유 유색인(아프랑시 또는 갱 드 컬러 리브르)이 뉴올리언스로 도망쳐 종종 아프리카 노예들을 데려와 도시 인구를 두 배로 늘렸다.[11] 그들은 또한 루이지애나 크리올 요리에 레드 빈스 앤 라이스와 차요테(배 모양 채소)와 같은 아이티 특산물을 소개했다.[10]

3. 특징

아이티 요리는 카리브 요리로 묶이기도 하지만, 독자적인 풍미를 유지한다.[10] 허브와 후추를 넉넉하게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대표적인 요리로는 마리네이드 소스를 바르고 붉은 도미, 토마토, 양파를 얹은 쌀과 붉은 강낭콩을 곁들인 ''riz collé aux pois''(diri kole ak pwaht)가 있다. 이는 아이티의 국가 쌀로 여겨지는 ''Riz National''이라고도 불린다.

쌀은 콩만 곁들여 먹기도 하지만, 대부분 고기를 곁들여 요리를 완성한다. 흰쌀밥 위에 퓌레나 ''소스 포아''(sos pwa)를 얹어 먹기도 한다. 전통적인 아이티 소스 포아는 쿠바식 검은 콩 수프보다 덜 걸쭉하다. 검은 콩이 주로 사용되며, 붉은 콩, 흰 콩, 완두콩도 사용된다. 닭고기는 자주 먹는 재료이며, 염소고기(''cabrit'')와 쇠고기(''boeuf'')도 사용된다. 닭고기는 레몬 주스, 신 오렌지, 스코치 보닛 고추, 마늘 등으로 만든 마리네이드에 삶은 후 바삭하게 튀겨 먹는다.

Légume Haïtien(légumeht)는 가지, 양배추, 차요테, 시금치, 물냉이 등 여러 채소를 으깬 걸쭉한 채소 스튜이다. épice, 양파, 마늘, 토마토 페이스트로 양념하며, 쇠고기나 게와 함께 요리한다. Légume은 주로 쌀과 함께 제공되지만, 폴렌타와 비슷한 옥수수 죽인 ''mais moulin''(mayi moulenht), ''petit mil''(요리한 기장), ''blé''(밀)와 같은 다른 녹말과 함께 제공될 수도 있다.

얌, 고구마, 감자, 빵나무와 같은 녹말도 일반적으로 먹으며, 토마토 페이스트, 양파, 향신료, 말린 생선으로 만든 얇은 소스와 함께 먹는다. ''Tchaka''는 호미니, 콩, ''주무''(호박), 고기(주로 돼지고기)로 만든 푸짐한 스튜이다. ''Boulette''는 아이티식으로 양념한 빵으로 감싼 미트볼이다.[13] 아이티 스파게티는 핫도그, 말린 청어, 씨앗, 향신료를 토마토 소스와 생 물냉이를 곁들여 요리하며, 아침 식사로 자주 먹는다.[14]

Haitian patties


아이티 패티 (pâté)는 다진 쇠고기, 닭고기, 소금에 절인 대구, 훈제 청어 (식품), 다진 칠면조로 만들어지며 바삭하거나 얇은 껍질로 둘러싸여 있다. 이 외에도 아크라(akra)라고 불리는 말란가 튀김, ''바나나 페세'', 튀긴 고소한 반죽 공인 ''마리네이드'' 등의 간식이 있다. ''그리오''(튀긴 돼지고기), 타소 카브리(튀긴 염소 고기) 등 튀긴 고기는 ''피클리즈''라는 매운 슬로와 함께 제공된다. ''프리타이'' (fritay)로 알려진 튀긴 음식은 길거리에서 흔히 볼 수 있다.[15] 아이티 감자튀김과 달콤한 아이티 바닐라빈 마시멜로도 인기 있는 애피타이저이다.[16]

주식은 이며, 옥수수 가루를 사용한 요리도 많다. 프랑스 요리서아프리카 요리의 영향을 받아 이 두 가지가 융합된 크리올 요리가 탄생했다. 롤캐비지나 키비 등 역사적 시리아 지역에서 온 이민자들의 레바논 요리의 영향도 보인다. 조림 요리나 소스를 사용한 요리가 많으며, 매운맛의 요리는 적지만, 피망 부크라고 불리는 고추 (카프시쿰 키넨세)의 품종으로 만든 핫 소스가 조미료로 사용된다. 열대 과일 등 과일을 사용한 요리도 많다.

3. 1. 지역적 특징

아이티 전역에는 지역 요리가 존재한다. 제레미 인근, 그랑당스 데파트망, 즉 곤아브 만의 아이티 남서쪽 끝자락에서는 '통통'이라는 요리가 있는데, 이는 '람 베리타브'라고 불리는 찐 빵나무 열매를 필롱에 으깨어 만든 것이다. 통통은 씹지 않고 삼키며, 오크라 (칼라루)로 만든 미끄러운 소스를 사용하며, 이 소스에는 고기, 생선, 게, 풍미 가득한 향신료가 들어간다. 통통은 서아프리카의 ''푸푸''와 매우 유사하다. '풀 악 느와'(''poulet aux noix de cajou'', 캐슈너트를 넣은 닭고기)라는 또 다른 지역 요리는 카프-아이시앙 인근 지역, 즉 아이티 북부 지역에서 유래되었다.

이민의 물결 또한 아이티 요리에 영향을 미쳤다. 예를 들어, 레바논시리아에서 온 이민자들이 키베를 가져왔고, 이는 아이티 요리에 흡수되었다.[17]

4. 주요 식재료

아이티 요리는 다양한 식재료를 활용하여 만들어진다. 주요 식재료는 크게 곡물 및 콩류, 채소 및 과일, 향신료 및 기타, 육류 및 해산물로 나눌 수 있다.[12]

아이티 요리에 사용되는 주요 식재료
곡물 및 콩류채소 및 과일향신료 및 기타육류 및 해산물



존존(Djondjon)은 망고 나무 아래에서만 자라는 애주름버섯과 애주름버섯속 버섯으로, "카리브해의 트러플"이라고도 불린다. 건조 존존을 불린 물로 만든 필라프는 검은색을 띤다. 피멘 부크(pimen bouk)는 고추의 한 품종이다. 에바 밀크는 냉장고 보급이 원활하지 않고 정전이 잦은 환경에서 우유 대신 통조림 형태로 자주 사용된다.

4. 1. 곡물 및 콩류

아이티 요리에서 널리 사용되는 곡물 및 콩류는 다음과 같다.

아이티 요리에 사용되는 곡물 및 콩류
곡물 및 콩류



카사바 단면


아보카도 (왼쪽: 통째로, 오른쪽: 단면)

4. 2. 채소 및 과일



아이티 요리에는 다음과 같은 채소와 과일이 주재료로 사용된다.[12]

이 외에도 살구, 바질, 월계수 잎, 사탕무, 검은콩, 검은 후추, 병아리콩, 차이브, 계피, 정향, 코코넛 밀크, 고수, 옥수수 가루, 옥수수 전분, 듀베리, 검은 나팔 버섯(djon-djon), 가지, 에피스, 생강, 자몽, 석류 시럽, 으깬 정향, 구아바, 하바네로, 청어, 호미니, 저크 양념, 리크, 레몬, 리마콩, 말란가, 좁쌀, 당밀, 겨자, 소꼬리, 파슬리, 폴렌타, 핀토콩, 케네페, 럼 아그리콜, 로즈마리, 스코치 보닛 고추, 샬롯, 사워솝, 비터 오렌지, 시금치, 팔각, 사탕수수 주스, 타마린드, 토마토 소스, 바닐라 추출물, 식초, 물냉이 등이 사용된다.

존존(Djondjon)은 망고 나무 아래에서만 자라는 애주름버섯과 애주름버섯속 버섯으로, "카리브해의 트러플"이라고도 불린다. 건조 존존을 불린 물로 만든 필라프는 검은색을 띤다. 피멘 부크(pimen bouk)는 고추의 한 품종이다. 에바 밀크는 냉장고 보급이 원활하지 않고 정전이 잦은 환경에서 우유 대신 통조림 형태로 자주 사용된다.

4. 3. 향신료 및 기타

아이티 요리 준비에는 다양한 재료가 사용된다. 다음은 요리 준비를 위한 인기 식재료 목록이다.[12]

재료명설명
살구
아보카도
바질
바나나
월계수 잎
쇠고기
사탕무
검은콩
검은 후추
빵나무
양배추
칼라바사서인도 호박이라고도 불림
당근
캐슈
카옌고추
카사바현지에서는 cassave라고 함,
닭고기
닭 육수
차요테
병아리콩
차이브
계피
정향
코코넛밀크
코코넛
소라
연유
고수
옥수수녹말
소 발바닥
게살
데우베리
건염 대구
검은 나팔 버섯현지에서는 "djon-djon"이라고 함
가지
계란
에피스
무당연유냉장고 보급이 덜 되고 정전이 잦기 때문에 우유 대신 통조림 에바 밀크가 자주 사용됨
생강
염소고기
자몽
완두
석류 시럽
으깬 정향
구아바
하바네로
청어
호미니
저크 양념
강낭콩"붉은 콩"이라고도 함
바닷가재 고기
양고기
돼지 비계
리크
레몬
리마콩
말란가"accra"라고도 함, 토란의 일종으로, 카리브해 국가 및 중앙 아메리카에서 인기 있는 식재료
망고
좁쌀
당밀
버섯
겨자
양파
쇠꼬리
오크라
파파야
패션프루트
파슬리
폴렌타
돼지고기
비둘기콩
파인애플
핀토콩
플랜틴요리용 바나나
케네페
럼 아그리콜
로즈마리
소금에 절인 쇠고기
소금에 절인 생선
스코치보닛고추
셜롯
새우
사워솝
비터 오렌지
시금치
팔각
고구마
사탕수수
사탕수수주스
타마린드
토란
토마토 소스
바닐라 추출액
식초
물냉이
존존망고 나무 아래에서만 자라는 애주름버섯과 애주름버섯속의 버섯. “카리브해의 트러플”이라고 불리며, 건조 존존을 불린 물로 만든 필라프는 새까맣게 됨
피멘 부크고추(카옌 고추)의 한 품종


4. 4. 육류 및 해산물

아이티 요리에서 육류 및 해산물은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다음은 아이티 요리 준비에 사용되는 주요 육류 및 해산물 재료이다.

육류해산물



이 외에도 다양한 육류 및 해산물이 아이티 요리에 사용된다.[12]

5. 대표적인 요리

아이티 요리는 카리브 요리로 묶이기도 하지만, 독립적이고 독특한 풍미를 유지한다.[10] 허브와 후추를 넉넉하게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 주식
  • '''디리 콜레 아크 프와(diri kole ak pwa)''': 붉은 도미, 토마토, 양파를 얹고 마리네이드 소스를 곁들인 쌀과 붉은 강낭콩 요리이다. ''리 나시오날(Riz National)''이라고도 불리며 아이티의 국가 쌀로 여겨진다.
  • '''쌀과 콩''': 쌀은 콩만 먹기도 하지만, 고기를 곁들여 먹는 경우가 많다. 퓌레나 ''소스 푸아(sos pwa)''를 흰 쌀밥 위에 얹어 먹기도 한다. 검은 콩, 붉은 콩, 흰 콩, 완두콩 등 다양한 콩이 사용된다.
  • '''닭고기 요리''': 닭고기는 자주 먹는 재료이며, 레몬 주스, 신 오렌지, 스코치 보닛 고추, 마늘 등으로 양념하여 튀겨 먹는다. 염소고기(''cabrit'')와 쇠고기(''boeuf'')도 먹는다.
  • '''레귐 아이티엥(Légume Haïtien)''': 가지, 양배추, 차요테, 시금치, 물냉이 등 다양한 채소를 으깬 걸쭉한 채소 스튜이다. épice, 양파, 마늘, 토마토 페이스트로 양념하며, 쇠고기나 게와 함께 요리한다. 쌀, 폴렌타와 유사한 옥수수 죽인 ''마이 물랑(mayi moulen)'', ''프티 밀(petit mil)''(요리한 기장), ''블레(blé)''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 '''기타 녹말''': 얌, 고구마, 감자, 빵나무 등을 먹으며, 토마토 페이스트, 양파, 향신료, 말린 생선으로 만든 얇은 소스와 함께 먹는다.
  • '''차카(Tchaka)''': 호미니, 콩, ''주무''(호박), 고기(주로 돼지고기)로 만든 푸짐한 스튜이다.
  • '''불레트(Boulette)''': 빵으로 감싼 미트볼이다.[13]
  • '''아이티 스파게티''': 핫도그, 말린 청어, 씨앗, 향신료, 토마토 소스, 물냉이를 넣어 만든 아침 식사 요리이다.[14]

  • 애피타이저

  • '''아이티 패티(pâté)''': 다진 쇠고기, 닭고기, 소금에 절인 대구, 훈제 청어 (식품), 다진 칠면조를 바삭하거나 얇은 껍질로 둘러싼 음식이다.
  • '''아크라(akra)''': 바삭하고 매운 말란가 튀김이다.
  • '''바나나 페세'''
  • '''마리네이드''': 튀긴 고소한 반죽 공이다.
  • '''그리오(튀긴 돼지고기), 타소 카브리(튀긴 염소 고기)''': 프리타이(fritay)로 알려진 튀긴 음식으로, 길거리에서 널리 판매된다.[15] 피클리즈라는 매운 슬로와 함께 제공된다.
  • '''아이티 감자튀김, 달콤한 아이티 바닐라빈 마시멜로''': 아이티에서 인기 있는 애피타이저이다.[16]

두 번 튀긴 플랜틴


아이티 피클리즈


그리옷(Griot)과 튀긴 플랜틴, 피클리즈 제공

  • 기타 요리
  • 부용
  • 브로셰트
  • '''카사브(cassave)''': 건조하고 가공된 쓴 카사바로 만든 납작빵이다.[28]
  • '''쇼콜라 데 카예(chocolat des Cayes)''': 수제 코코아이다.
  • 두쿠누
  • '''디리 블랑 아크 소스 프와 누아(diri blan ak sos pwa nwa)''': 흰 쌀과 검은 콩 소스이다.
  • '''디리 아크 종종(diri ak djon djon)''': 검은 버섯 소스에 밥이다.
  • '''디리 아크 레귐(diri ak legim)''': 채소가 들어간 밥이다.
  • '''디리 아크 프와(diri ak pwa)''': 밥과 콩이다.
  • '''디리 아크 프와 루즈(diri ak pwa rouj)''': 쌀과 붉은 콩이다.
  • '''디리 아크 소스 프와(diri ak sos pwa)''': 콩 소스에 밥이다.
  • '''디리 아크 랄로(diri ak lalo)'''
  • 그리오
  • '''마카로니 오 그라탕(macaroni au gratin)''': 마카로니와 치즈이다.
  • 마리네이드
  • 팽 아이티엥
  • '''파테 아이티엥(pate ayisyen)''': 소고기, 소금에 절인 대구, 훈제 청어, 닭고기, 다진 칠면조를 넣고 향신료를 뿌려 만든 매우 인기 있는 짭짤한 간식이다.[30]
  • 땅콩 프랄린
  • 피클리즈
  • '''살라드 드 베트라브(salade de betteraves)''': 비트 샐러드이다.
  • '''소스 티말리스(sos Ti-Malice)''': 매콤하고 톡 쏘는 소스이다.
  • 수프 주무
  • '''타소 에 바난 페제(taso e bannann peze)''': 염소 튀김과 튀긴 플랜틴이다.
  • 토스토네스
  • '''풀 앙 소스(poul an sos)''': 크레올 소스의 닭고기이다.
  • '''감자 그라탕(graten pòmdetè)'''
  • '''살라드 루스(salad ris)''': 비트, 감자, 계란 샐러드이다.

디리 아크 푸아(Diri ak pwa) (중앙 앞쪽)


수프 주무(Soup joumou)

  • 음료
  • '''아이티 커피''': 럼주를 몇 방울 넣어 마시는 것이 특징이다.
  • '''그리오츠(Griots)''': 돼지고기 오렌지 조림.
  • '''디리 아크 존존(diri ak djon-djon)''': 존존 밥
  • '''수프 주무(soup joumou)''': 호박쇠고기 수프. 전통적으로 새해에 먹는다.
  • '''마이 물랑(mayi moulen)''': 옥수수 가루
  • '''키비(kibi)''': 쿠스쿠스와 소 다진 고기, , 후추를 섞어 내열 용기에 담아 오븐에 구운 것. 레바논계 아이티인은 불거와 다진 고기를 사용한다.
  • '''메시(mechie)''': 롤 캐비지.
  • '''바난 페제(bannann peze)''': 둥글게 썬 플랜틴 튀김. 스페인어권의 토스토네스와 같다.
  • '''피클리즈(pikliz)''': 피망 부크를 양배추, 당근, 양파, 완두콩, 향신료와 함께 식초에 절인 것.
  • '''소스 베샤멜(sos béchamel)''': 베샤멜 소스
  • '''베니에(benye)''': 바나나 튀김
  • '''디리 올레(diri ole)''': 라이스 푸딩
  • '''고드린(godrin)''': 파인애플 껍질을 발효시킨 음료
  • '''시트로나드(sitronad)''': 레모네이드
  • '''아이티 스파게티(Haitian spaghetti)''': 케첩과 채소 페이스트를 기반으로 한 아침 식사용 스파게티.

6. 음료

아이티는 열대 기후의 영향으로 다양한 과일 주스를 즐겨 마신다. 구아바, 자몽, 망고, 오렌지 등 여러 과일로 만든 주스를 쉽게 구할 수 있으며, 이는 다양한 맛과 쉬운 생산, 널리 접근 가능하다는 점 때문에 사실상 기본 음료로 여겨진다.[1]

당밀을 첨가해 발효시키지 않은 보리로 만든 비알코올성 맥아 음료도 흔히 마신다. 과일 샴페인 맛의 콜라 쿠론은 1924년부터 주식 음료로 자리 잡으면서 아이티와 디아스포라에서 가장 인기 있는 탄산 음료이다.[23] 콜라 라카예는 과일 콜라를 포함한 다양한 맛을 가진 또 다른 탄산 음료 브랜드이다. 도시 지역에서는 코카콜라펩시코와 같은 미국 음료도 즐겨 마신다.

밀크셰이크도 정기적으로 마시며, 달콤하고 진한 커피는 전국에서 즐겨 마신다. 1898년부터 생산된 ''카페 셀렉토''와 최근의 ''레보''는 모두 인기 있는 커피 브랜드이다.[1][24] 아이티 커피는 초콜릿처럼 달콤하고 부드러운 감귤 향이 나는 고전적이고 풍부한 맛을 가지고 있다.[25] Jus Papaye는 바닐라 맛의 아이티 파파야 주스 밀크셰이크이다.[26] 아카산은 우유, 옥수수 가루, 팔각, 바닐라, 계피로 만든 아이티의 인기 음료이다. 고드린(godrinht)은 파인애플 껍질을 발효시킨 음료이고, 시트로나드(sitronadht)는 레모네이드이다.

6. 1. 주류

맥주는 아이티에서 흔히 소비되는 알코올 음료 중 하나이다. 아이티에서 가장 많이 소비되는 맥주 브랜드는 프레스티지로, 순한 라거이다. 프레스티지는 브라세리 나시오날 다이티(Heineken 소유)에서 양조한다.[1]

아이티는 국제적으로 으로 알려져 있다. 바방쿠르 럼은 잘 알려진 생산자이다. 아이티 럼은 다른 종류의 럼과 달리 당밀 대신 직접 사탕수수 즙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독특하며, 구분을 위해 "rhum"에 "h"가 추가되었다. 이 럼은 약 20개국에서 판매되며, 코냑 생산에 사용되는 공정과 유사한 증류 과정을 사용한다.[1]

클레랭(kleren)은 증류주의 일종으로, 사탕수수로 만들어지며 농업용 럼(rhum agricole)과 동일한 증류 과정을 거치지만 덜 정제된다.[18] 때로는 유사한 특성 때문에 화이트 ''럼''이라고도 불린다.[19][20][21] 아이티에서는 일반 ''럼''보다 저렴한 선택지로 여겨진다. 또한 아이티 부두교(Vodou) 의식에도 사용된다.[18][22]

크레마스는 "Crémasse"(kremasht)라고도 표기하며, 아이티가 원산지인 달콤하고 크리미한 알코올 음료이다. 이 음료는 주로 코코넛 크림, 연유 또는 농축 우유, 그리고 럼으로 만들어진다. 사용되는 럼은 보통 다크 럼이지만, 화이트 럼도 자주 사용된다. 시나몬, 육두구, 아니스와 같은 다양한 향신료와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바닐라 추출물 또는 건포도와 같은 다양한 재료가 추가되어 풍미를 더한다. 레시피는 사람마다 다르며 재료에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전반적인 모양과 맛은 동일하다. 이 음료는 걸쭉한 밀크셰이크와 비슷한 크리미한 질감을 가지며, 옅은 흰색에서 베이지색까지 색상이 다양하다. 매우 인기 있는 음료로, 사교 행사와 휴일에 정기적으로 제공된다. 보통 달콤한 페이스트리와 함께 곁들여 먹는다. 차갑게 제공되는 경우가 많지만, 실온에서도 제공될 수 있다. 이 음료는 최근 아이티뿐만 아니라 미국에서도 시판되고 있다.[1]

아이티 커피는 럼주를 몇 방울 넣어 마시는 것이 특징이다.

고드린(godrinht)은 파인애플 껍질을 발효시킨 음료이다.

시트로나드(sitronadht)는 레모네이드이다.

6. 2. 무알코올 음료

열대 기후인 아이티에서는 주스가 주식이다. 다양한 과일로 주스를 만들어 어디에서나 구할 수 있다. 구아바 주스, 자몽 주스, 망고 주스, 그리고 오렌지, 그라나딜라, 백향과 등 많은 감귤류 과일 주스를 즐겨 마신다. 주스는 다양한 맛, 쉬운 생산, 널리 접근 가능하다는 점 때문에 사실상 기본 음료이다.[1] 당밀을 첨가하여 발효되지 않은 보리로 만든 비알코올성 음료인 맥아 음료도 흔히 마신다. 과일 샴페인 맛의 콜라 쿠론은 1924년부터 주식 음료로 자리 잡으면서 아이티와 디아스포라에서 가장 인기 있는 탄산 음료라고 할 수 있다.[23] 콜라 라카예는 과일 콜라를 포함한 다양한 맛을 가진 또 다른 탄산 음료 브랜드이다. 국가의 도시 지역에서는 코카콜라펩시코와 같은 미국 음료도 즐겨 마신다. 밀크셰이크도 정기적으로 마신다. 달콤하고 진한 커피는 전국에서 즐겨 마신다. 1898년부터 가장 오래된 커피 브랜드 중 하나인 ''카페 셀렉토''와 최근의 ''레보''는 모두 인기 있는 블렌드를 제공한다.[1][24] 아이티 커피는 초콜릿처럼 달콤하고 부드러운 감귤 향이 나는 고전적이고 풍부한 맛을 가지고 있다.[25] Jus Papaye는 바닐라 맛의 아이티 파파야 주스 밀크셰이크이다.[26] 아카산은 우유, 옥수수 가루, 팔각, 바닐라, 계피로 만든 아이티의 인기 음료이다. 고드린(godrinht)은 파인애플 껍질을 발효시킨 음료이고, 시트로나드(sitronadht)는 레모네이드이다.

7. 디저트

아이티에서는 순한 맛부터 단맛까지 다양한 종류의 디저트를 즐겨 먹는다. 사탕수수는 이러한 디저트를 만드는 데 자주 사용되며, 과립 설탕도 많이 사용된다. 빙수 디저트인 '프레스코'는 이탈리안 아이스와 유사하지만 주로 과일 시럽으로 구성된다. 팽 파타트(pen patat)는 계피, 연유, 고구마를 사용하여 만든 부드럽고 달콤한 이다. 보통 냉장고에서 차갑게 먹지만 실온에서도 먹을 수 있다. 아카산은 옥수수 죽의 일종인 '라부이'(labouyi)와 유사한 농도를 가진 걸쭉한 옥수수 밀크셰이크이다. 연유와 설탕으로 구성된 팽 파타트와 동일한 재료를 많이 사용한다.[1] 두스 마코스는 아이티 바닐라 퍼지이다.[27]

참조

[1] 서적 Women and Children's Tribulation In Haiti https://books.google[...] Xlibris Corporation 2014-03-06
[2] 웹사이트 What is a Haitian Patty? http://www.haitianpa[...] 2014-03-06
[3] 서적 The Great American Barbecue and Grilling Manual Abacus Publishing
[4] 웹사이트 The History of Barbecue in the South: The Etymology of Barbecue http://xroads.virgin[...] American Studies at the University of Virginia 2014-10-13
[5] 웹사이트 Oxford English Dictionary and Barbecue http://old.cbbqa.org[...] Oxford English Dictionary 2014-10-13
[6] 웹사이트 Barbecue, a Haitian Tradition http://www.socialstu[...] 2014-10-13
[7] 웹사이트 Cultural Information: Haiti http://culturalinfus[...] 2014-10-13
[8] 간행물 What Became of the Taíno? http://www.smithsoni[...] 2014-10-28
[9] 서적 Smallpox: The Fight to Eradicate a Global Scourge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2-08-15
[10] 웹사이트 Food In Haiti http://www.foodbycou[...] 2014-10-28
[11] 웹사이트 Haitian Immigration: 18th & 19th Centuries http://www.inmotiona[...] 2018-06-12
[12] 논문 Valorization of pikliz: a spicy meal garnishment in Haitian cuisine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LLC 2021-04-09
[13] 서적 International Cuisine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2017-08-05
[14] 뉴스 For Black cooks, spaghetti represents unity and ingenuity: Washington Post, The https://eds.p.ebscoh[...] 2022-10-31
[15] 서적 A Taste of Haiti https://books.google[...] Hippocrene Books 2004
[16] 서적 C'est Si Bon!: Haitian Cuisine Cookbook https://books.google[...] Xlibris Corporation
[17] 서적 Food Cultures of the World Encyclopedia [4 volumes]: [Four Volumes] https://books.google[...] Abc-Clio 2014-11-03
[18]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Haiti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15-06-12
[19] 서적 Fine Haitian Cuisine https://books.google[...] Educa Vision 2015-06-12
[20] 서적 Song of Haiti: The Lives of Dr. Larimer and Gwen Mellon at Albert Schweitzer Hospital of Deschapelles https://books.google[...] PublicAffairs 2015-06-12
[21] 서적 Haiti: Best Nightmare on Earth https://books.google[...] Transaction Publishers 2015-06-12
[22] 서적 The Making of Haiti: The Saint Domingue Revolution from Below https://books.google[...] Univ. of Tennessee Press 2015-06-12
[23] 웹사이트 Cola Couronne: Try The Sweetest, Most Popular Taste of Haiti https://www.uncommon[...] 2014-02-13
[24] 서적 Haiti https://books.google[...] Bradt Travel Guides 2015-12-04
[25] 웹사이트 History of Haitian Coffee http://www.singingro[...] 2016-03-07
[26] 웹사이트 Papaya Juice Milk Shake (Jus Papaye) http://haitiancookin[...]
[27] 웹사이트 "3 Most Popular Haitian Desserts" https://www.tasteatl[...]
[28] 서적 Fine Haitian Cuisine https://books.google[...] Educa Vision 2014-10-21
[29] 웹사이트 Haitian Griot Is a Postcard From the Caribbean http://mobile.nytime[...] 2015-03-20
[30] 서적 A Taste of Haiti https://books.google[...] Hippocrene Books 2014-04-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